업무분야

ESG센터

개요

ESG로 인한 위험과 기회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 이슈는 이사회와 경영진이 반드시 다뤄야 할 핵심적인 내용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투자자와 규제 기관의 ESG 관련 요구는 점점 더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에게 위험인 동시에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요인이 됩니다.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ESG 성과 정보 공시를 비롯한 ESG 관련 규제가 가속화되면서 이러한 변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의무공시 외에도 환경, 사회 요소를 포함한 ESG 관련 정보 공시 역시 필수가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투명성을 높이고, ESG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유럽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규제로 인해 대기업 뿐만 아니라 협력업체와 중소·중견기업도 인권 및 환경 실사를 실행하고, 일정 수준의 ESG 관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대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쳐 인권 및 환경과 관련한 부정적 영향들을 엄격히 관리해야 하며,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협력업체는 거래에서 배제될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이러한 ESG 규제들은 기업에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동시에 ESG 관리가 잘 이루어진 기업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규제 대응을 넘어서, ESG를 선제적으로 관리하는 기업은 비용 절감, 투자 유치, 시장 확대 등의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ESG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야 말로 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입니다.

ESG에 관한 종합적인 자문 제공
법무법인(유) 세종은 고객들의 ESG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의 요구에 맞추어 ESG 공시 및 평가, 전략 및 거버넌스, 투자, 실사, 규제 자문 및 소송까지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의 위험 관리를 지원하고 궁극적으로 장기적 성장을 지원합니다.

세종 ESG 센터는 ESG 각 이슈에 관한 풍부한 자문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저희는 지속가능성 보고서 및 기업지배구조보고서 발간, ESG 평가 등급 개선, 그린워싱 이슈 대응 자문, ESG 실사, ESG 투자 전략 수립 등 광범위한 자문을 제공해 왔습니다. 또한 탄소배출권, 환경 유해물질, 신재생에너지, 그린본드, 생물다양성과 같은 환경 이슈부터 산업안전, 중대재해, 인권,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등 사회적 이슈, 이사회 운영, 주주행동주의, 반부패, 내부고발과 같은 기업지배구조 이슈까지 다양한 ESG 분야의 자문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종 ESG 센터는 기업 대상 자문에 그치지 않고, 경영진 및 실무진을 위한 ESG 교육 프로그램도 제공하여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통찰력을 향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영진 및 사외이사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거버넌스 운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기업의 전략적 의사결정과 연계된 효과적인 ESG 적용을 위한 모범 사례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저희 ESG 센터는 늘어나는 ESG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고려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 기업지배구조, 노동, 금융, 공정거래 등 여러 분야의 실력있는 전문가들이 포진하고 있습니다. ESG 센터장인 송수영 변호사, 정영일 수석 전문위원을 중심으로 ESG 분야에서 가장 권위있는 기관인 한국ESG기준원 부원장을 역임하였던 이용국 고문, 환경부에서 요직을 두루 거친 백규석 고문,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역임한 정지원 고문, 한국거래소 ESG 초대 팀장을 역임한 강지호 고문, 한국씨티은행 법무부문 부행장을 역임한 기업지배구조 전문가 이창원 변호사를 비롯하여 기업지배구조 관련 전문가인 김병태 변호사, 강지원 변호사, 노동 분야 전문가인 김종수 변호사, 기후변화대응 관련 전문가인 류재욱 변호사, 환경분야 전문가인 고민정 변호사, 공정거래, 컴플라이언스 전문가인 석근배 변호사, 금융 분야 전문가인 문경화 변호사,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문가인 조현미 변호사, 정유성 변호사, ESG 관련 해외 규제 전문가인 마이클장 호주변호사, 박효민 변호사, 안수연 미국변호사, 유한희 미국변호사 등 각 분야의 10년 경력 이상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들이 귀사의 요청에 맞추어 유기적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저희의 분야별 풍부한 경험과 전문 지식이 귀사의 경영환경에 적합하고 효율적인 ESG 자문 통합 솔루션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한유정 선임컨설턴트, 이현승 선임컨설턴트가 ESG 컨설팅팀을 이끌고 있습니다.

주요 서비스

세종은 ESG 업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ESG 공시 및 평가
    - 공시 기준 및 프레임워크 기반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 이중 중요성(Double Materiality) 평가 및 공시
    - CSRD 대응 / ESRS 기반 지속가능성 제표(Sustainability Statement) 작성
    - 한국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적용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및 검토
    - ESG 평가 등급 개선
    - 그린워싱 리스크 진단, 가이드라인 작성 및 내재화
    - 밸류업 공시
     
  • ESG 전략 및 거버넌스
    1. ESG 경영목표 및 운영체계 수립
    - ESG 연계 Vision 및 전략체계 수립
    - ESG 중장기 이행 로드맵 및 과제 수립
    - 이사회 및 경영진 ESG 관리 관련 R&R 수립 및 역량 강화
    - ESG Risk 관리 및 지속가능성 보고 내부 통제 수립

    2. E/S/G 중요 사안 관리
    - 탄소중립, RE100 , 신재생에너지 전환 등 기후변화/환경 이슈 대응 전략 수립
    - 기후변화 및 생물다양성 시나리오에 따른 위험/기회 분석 및 재무적 영향 분석
    - Product Environment Footprint, Product Carbon Footprint 등 DPP(Digital Product Passport) 규제 대응
    - DEI, 중대재해, HR/조직문화 변화 전략 수립
    - 주주총회, 이사회 운영, 주주행동주의 등 지배구조 전략
     
  • ESG 투자
    1. 투자기관의 ESG 투자
    - M&A 과정에서의 ESG 실사
    - Private Equity, Venture Capital(GP)의 UN PRI 가입 및 보고, ESG 관련 LP 보고 대응 자문
    - ESG 채권 및 펀드 자문

    2.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 투자기관의 사전/사후 투자 단계별 ESG 관리체계 수립
    - ESG 연계 투자기관의 포트폴리오 진단 및 개선 자문
    - EU Taxnomy에 따른 친환경 활동 분석과 재무지표(매출, 투자, 운영비용) 산출 및 KPI 설정 자문
     
  • ESG 실사(Due Diligence)
    1. 인권 및 환경 실사
    -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실사 규제 대응
    - 자체 사업장 및 가치사슬 인권 및 환경 부정적 영향 파악
    - 자체 사업장 및 가치사슬 인권 및 환경 실사 체계 구축
    - 인권 및 환경 정책 수립 및 고충처리 제도 구축

    2. 공급망 실사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 공급망 인권 및 환경 실사 관련 법규(CSDDD, EUDR 등) 대응
    - 공급망 인권 환경 부정적 영향 파악
    - 공급망 인권 및 환경 실사 체계 구축
    - 공급망 인권 및 환경 정책 수립 및 고충처리 제도 구축
    - 공급망 관리 체계 구축
    -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
     
  • ESG 규제 대응 및 소송
    1. ESG 관련 국내외 규제 및 통상 대응
    - EU ESG/Sustainability 규제 영향 분석 및 대응
    - 미국 연방 및 주별 ESG/지속가능성 규제 영향 분석 및 대응
    - 해외 규제 기반 통상 리스크 진단 및 대응 컨설팅

    2. ESG/Sustainability 소송
    - ESG/Sustainabilty 관련 공시 및 그린워싱 규제 위반 관련 소송 대응
    - 인권 및 환경 실사 규제 위반 관련 소송 대응
    - 제품 환경 관련 성능 및 정보 공개 규제 위반 관련 소송 대응
     
  • ESG 교육 및 연구
    - 상장/비상장사 대상 ESG 통합 교육 프로그램 제공
    - 경영진 및 사외이사 ESG 교육 제공
    - E/S/G 이슈별 최신 규제 트렌드 및 실무 이슈 교육
    - ESG 정책 동향 및 연구보고서 발간
    - ESG 최신 경영 트렌드, 선도기업 우수사례 연구 및 벤치마킹

 

법무법인(유) 세종의 ESG 센터는 법률 전문가와 컨설턴트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산업 전 분야의 ESG 이슈 관련 컨설팅 및 법률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업무 실적
1. ESG 공시 및 평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 숲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영풍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국내 선도 Private Equity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국내 선도 Private Equity TCFD 보고서 발간
  • KB금융지주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자율공시 관련 법률 검토
지배구조보고서
  • 삼양식품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자문
  • 신성이앤지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자문
  • 에스디바이오센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자문
ESG 평가 등급 개선
  • 영풍 ESG 평가기관 등급개선 컨설팅
  • 부광약품 ESG 현황 진단 및 평가등급 개선 자문
  • 종근당홀딩스 ESG Controversial Issue 관련 평가기관 대응
  • 아시아나항공 ESG Controversial Issue 관련 평가기관 대응
그린워싱
  • SK이노베이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그린워싱 검토 및 자문
  • SK엔무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그린워싱 검토 및 자문
  • 국내 선도그룹 대상 그린워싱 법률분쟁 사례 연구용역 및 강의
  • 한섬 그린워싱 검토 자문
  • 삼성물산 그린워싱 이슈 계약서 반영 관련 자문
밸류업
  • 우리금융그룹 기업 밸류업 공시 관련 자문
  • 대한상공회의소 기업 밸류업 관련 입법개선과제 제안 검토
  • SK 그룹 통합 사내 학습 플랫폼에 대한 해외 기업 밸류업 공시 관련 연구
  • 한국 CFO협회 밸류업 공시 관련 강의
2. ESG 전략 및 거버넌스
ESG경영 진단
  • 영풍 ESG경영진단 및 전략 수립
  • 부광약품 ESG경영진단 및 전략 수립
  • 실리콘마이터스 RBA 이니셔티브 기반 ESG 경영 진단 자문
거버넌스 개선
  • 포스코이앤씨 중기 거버넌스 전략 수립 용역
  • KT 뉴 거버넌스 구축 컨설팅
  • 삼성바이오로직스 Chief Sustainability Officer 선임 필요성 관련 자문
  • 국내 M그룹의 거버넌스 선진화 관련 자문 제공
  • 국내 M사의 지주회사 그룹 전환 관련 법률자문
  • 국내 H그룹, J그룹의 지주회사 출범 이후 거버넌스 관련 정비 관련 법률자문
  • 국내 A그룹사의 거버넌스개편 자문 제공
3. ESG 투자
지속가능 투자체계 구축
  • VIG Partners ESG 투자 체계 구축 컨설팅
  • STIC Investment UN PRI 보고 및 TCFD 보고서 발간 컨설팅
  • H&Q Korea ESG 투자 통합 정책 및 관리 프로세스 구축 컨설팅
  • 소프트뱅크벤처스 ESG 투자 정책 및 내부 업무 프로세스 관련 자문
  • KDB산업은행의 위탁운용사 ESG 이행 점검 관련 대응 자문
ESG 실사 및 사후관리
  • MBK Partners의 주식회사 넥스플렉스 지분 인수 관련 ESG 실사 자문
  • IMM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의 에코프로이노베이션 지분 인수 관련 ESG 실사 자문
  • VIG파트너스 포트폴리오 회사 ESG 관리체계 수립
ESG 관련 신사업
  • 국내 선도 Private Equity의 자원순환기업 투자 관련 자문
  • S그룹 계열회사의 대체육 사업 진출 관련 자문
  • 선도 신용정보회사의 ESG 평가 사업 관련 자문
ESG 채권, ESG 펀드
  • 그린뉴딜인프라 ESG블라인드 펀드 자문
  •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중소기업은행, 신한금융지주, 신한은행 Social Bonds 자문
  •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전력공사, SK하이닉스 Green Bonds 자문
4. ESG 법규 자문
공급망 관련 실사 및 규제 대응
  • 대림에 대한 EU CSRD 및 CSDDD 법규 검토 및 자문
  • HD현대마린솔루션(구 현대글로벌서비스) 공급망 ESG 컨설팅
  • 한국능률협회 CSDDD 관련 검토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EU CSDDD 대응 안내서 작성
  • 산업통상자원부 IPEF 공급망 협정 위기대응네트워크 운영 관련 법률 자문
  • S&S INC 자동차 업계 공급망의 ESG 법규 동향 및 서비스 트렌드 자문
인권 관련 규제 및 체계 구축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분쟁대응과 해외규제분석: 일본 인권지침 내용 분석
  • DLA Piper UK LLP 대상 Defense Industry Human Rights Regulation 자문
  • 엘지디스플레이 인권경영 및 인적자본 관련 규제 현황 검토
  • 하나은행에 대한 5개 부서 인권 관련 내규 정비 컨설팅 업무
  • 서울관광재단 익명신고(레드휘슬) 채널로 접수된 인권침해 사건 대응 검토
지속가능경영 관련 해외 규제
  • 한섬 EU ESG 규제 관련 자문
  • 엘지디스플레이 EU규정∙지침 관련 법률자문
  • 엘지디스플레이 위구르족 강제노동에 대한 미국 규제 관련 자문
ESG 공시 관련 규제
  • 한국회계기준원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 관련 자문
  • 환경부 국외 지속가능성 공시제도 심층분석 연구용역
  • 한국회계기준원 IFRS S1, S2 공개초안 및 기준서 검토 의견 자문
  • 한국회계기준원 SASB 번역 검토
5. ESG 연구 및 교육
ESG 교육
  • 상장회사진흥원 ESG 동영상 강의 제공
  • 하이서울기업협회 ESG 위탁교육
  • 중소기업중앙회 차세대 CEO 스쿨 ESG 강의
  • S그룹 전사 ESG 이슈 (그린워싱 등) 동영상 강의 제공
  • 동국제강, 남부발전, 롯데인재개발원, 전경련 국제경영원 세미나/교육
  • 한국 CFO협회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개정 가이드라인 및 작성 관련 강의
  • 삼성전자 대상 중대재해처벌법 동향분석 및 대응매뉴얼 보강, 자문교육
  • 한국공공기관연구원 공공기관 ESG 정책 세미나
ESG 정책/경영 연구
  • ESG 판례 및 공급망 실사 가이드 작성
  • 이중 중대성 가이던스 매뉴얼 업데이트
  • 광물 밸류체인 실사 가이던스 작성
  • 독일 공급망 실사법 FAQ 및 안내서 작성
  • DEI 공시 사례 연구
  • 일본기업 밸류업 공시 사례 연구
  • ESG 거버넌스 사례 조사 연구
6. 환경(Environmental)
기후변화 및 탄소배출, 환경오염
  • 환경경영시스템 구축 관련 자문
  • 탄소세 및 화석연료부과금 등 규제와 관련한 입법 관련 자문
  •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에 관한 법률 관련 입법 자문
  •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계획 및 할당처분 취소소송
  •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 관련 자문
  • 화학물질 규제 관련 자문
  • 환경영향평가 관련 자문 및 행정심판
  • 대기환경보전법 상 배출허용총량배정 대응 등 관련 자문
  • 물환경보전법 관련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등 관련 자문
  • 오염토양 정화 책임 관련 자문
  • 폐기물관리법 상 조치명령 관련 자문 및 행정소송
신재생에너지
  • KIAMCO 태양광, SK E&S 태양광, Actis 태양광 등 다수의 육상형, 지붕형 태양광 사업 관련 자문
  • 양구 수상태양광, 해창만 수상태양광 등 다수의 수상 태양광 사업 관련 자문
  • 제주한림해상풍력, 신안우이해상풍력, 완도금일해상풍력, 태안해상풍력, 안마해상풍력 등 다수의 해상풍력 사업 관련 자문
  • 원동육상풍력, 강원풍력, 경주풍력 등 다수의 육상풍력 사업(리파워링 사업 포함) 관련 자문
  • 도봉연료전지, 에너루트연료전지, 강릉사천연료전지, 석문연료전지, 화성송산연료전지, 창원분산형연료전지, 진천연료전지 등 다수의 연료전지사업(CHPS 사업 포함) 관련 자문
  • 제주 장주기 BESS 중앙계약시장 관련 자문, 입찰사업 관련 자문
  • 수소시장입찰, 수소트램사업, 수소충전소사업 등 수소 사업 관련 자문
  • SK에코플랜트, 제네시스매니지먼트 등의 폐기물업체 인수, 운영 사업 관련 자문
  • SK그룹, GS그룹 등의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 거래 사업 관련 자문
  • SK임업, 신한은행, 기후변화센터, 모카컴퍼니 등의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 CDM 사업 관련 자문
7. 사회(Social)
중대재해
  • 푸르덴셜생명보험, 미래에셋생명보험,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금융회사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CBRE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삼양식품, 롯데제과, 해태제과 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SKC, 코오롱인더스리즈, 태광산업 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부광약품, 녹십자, 코스맥스 등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한솔로지스틱스, 롯데GRS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 KT&G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체계 구축 컨설팅
산업안전
  • 현대위아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한 법률검토
  • 현대오일뱅크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관련 법률자문
  • 동국제강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검토
  • 두산인프라코어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자문
  • 롯데케미칼에 대한 개정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자문
  •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자문
  • 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관련 자문
  • 서브원 산재추락사망사고에 대한 자문
8. 거버넌스(Governance)
주주총회, 이사회 운영
  • 국내 다수 상장기업의 주주총회 및 이사회 운영, 절차 관련 자문
  • 국내 K사의 이사회(이사회내 위원회)의 구성/운영 관련 검토 자문
  • 국내 D사 이사회 운영 개선방안 관련 자문
  • SK하이닉스 계열회사 거래의 이사회 승인 의무 관련 검토
  • 교보생명 이사회 운영 관련 검토
  • 하나금융지주 이사회의 자회사업무 승인ㆍ보고 관련 검토
  • 중소기업은행 이사회의 사전 승인 관련 법률질의
  • 삼성바이오로직스 감사위원회 규정 관련 자문
내부 규정
  • 국내 M증권사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시행에 따른 내부규정 등 정비 관련 법률자문
  • 국내 금융지주사/카드사의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시행에 따른 내부규정 등 정비 관련 법률자문
  • 국내 H그룹, J그룹의 지주회사 출범 이후 지배구조 관련 정비 관련 법률자문
  • 금융사, 제조회사, 보험회사 등 다수 상장회사 및 대기업의 상법상 지배구조 관련 개정조항에 따른 정관 등 내부규정 정비 관련 법률자문
준법감시/부패방지
  • 국내 다수 상장회사, 금융회사,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 계열회사에 대한 내부통제, 준법감시, 규제당국 조사 대응 관련 자문
  • 의료산업, 방위산업, 기계설비 관련 다국적 기업에 대한 국내 규제당국 수사대응 및 내부조사 자문
  • 우리나라 기업에 대한 외국 반부패조사 기관의 자료제공 요청에 대한 자문
  • 세계은행(World Bank)의 부정당업자 제재 관련 사건 자문
  • Assa Abloy 반부패 컴플라이언스 관련 자문
주주행동주의
  • 상장법인 Y사 대상 기관투자자의 ESG관련 주주행동 대응 자문
  • 행동주의 펀드 선임 이사 관련 대응 자문
  • 행동주의 펀드 국내 회사 투자 관련 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