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성구
변호사개요
정성구 변호사는 법무법인(유) 세종의 파트너로서 금융규제그룹을 이끌고 있습니다. 정 변호사는 한국과 뉴욕주 변호사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융 규제, 자본 시장, 파생상품 거래, 데이터 보호 및 디지털 금융을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파생상품 규제 분야의 전문가로 인정받는 정 변호사는 한국 및 국제 금융 기관들에게 OTC 파생상품 청산, 증권 금융 및 벤치마크 개혁을 위한 글로벌 기준의 이행 등 중요한 프로젝트에 대해 자문을 제공합니다. 정변호사의 업무 중에는 한국의 첫 외국인 투자자 트랜치가 포함된 IPO나 최초의 탄소펀드와 같은 선도적인 자본시장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금융분야의 전문가로서 정 변호사는 금융기관들에 대한 조사 및 제재를 성공적으로 방어해 왔습니다. 아울러, 정 변호사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Who’s Who Legal 등 저명한 평가기관으로부터 "Debt & Equity"와 "Capital Market" 부문에서 한국의 Leading Lawyer로 선정되어 왔습니다.
정성구 변호사는 법률 실무 외에도 MyData 및 MyPayment와 같은 디지털 금융 이니셔티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많은 핀테크 기업들을 대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 혁신에 대한 기여로 2018년에는 대통령 표창을 받았습니다.
정성구 변호사는 법학계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와 협력하여 전자 증권 및 디지털 금융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 변호사는 금융위원회 및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등 다양한 정부 기관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해왔습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사법연수원에서 자본시장법 교수로 재직했으며, 2015년부터는 한국의 판사들에게 기업 금융법에 대해 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보호 법률에 대한 저명한 이론가로서, Thomson Reuters의 “신용정보법 온라인 해설”의 주요 논평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정성구 변호사는 2022년부터 2024년 법무법인(유) 세종에 합류하기 전까지 EQBR 홀딩스의 싱가폴 자회사인 EQBR Networks Pte. Ltd.의 CEO로 재직하며, 혁신분야에 있어서 법률지식을 실제 기업에 적용하는 경험을 쌓았습니다.
관련 업무분야
경력
- 2024-현재법무법인(유) 세종
- 2022-현재주식회사 고바이오랩 사외이사
- 2022-2024EQBR Networks Pte. Ltd. 대표이사
- 2021-2022금융위원회 청렴시민감사관
- 2021-2022금융위원회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 2021-2022제4차 산업혁명위원회 데이터 특별위원회 마이데이터 분과위원
- 2020-2022한국예탁결제원 전자증권 자문위원
- 2020-2022한국신용정보원 가명익명처리 적정성 평가위원
- 2020-2022한국신용정보원 금융데이터포럼 위원
- 2019-2022개인정보보호위원회 자문변호사
- 2019-2022주식회사 고바이오랩 감사
- 2019-2021금융위원회 감사자문위원
- 2018-2022한국법제연구원 법령번역자문위원
- 2017-2018법무부 전자증권법 시행령 제정위원회 위원
- 2017금융분야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적정성 평가전문가
- 2016-2022한국신용정보원 신용정보 빅데이터 자문위원
- 2016-2019한국신용회복위원회 감사
- 2016-2019금융발전심의회 위원
- 2016-2018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법령평가전문위원회 위원
- 2015-2022금융위원회 법령해석심의위원회 위원
- 2014-2022국회입법조사처 조사분석지원위원
- 2014-2018사법연수원 교수 (자본시장법)
- 2010-2019한국예탁결제원 증권파생상품 자문위원
- 2005-2022김·장 법률사무소
- 2004-2005Cleary Gottlieb Steen & Hamilton 홍콩
- 1999-2005법무법인 율촌
- 1996-1999육군법무관
- 1996사법연수원 제25기 수료
- 1994제35회 사법시험 합격
주요 업무 실적
파생금융거래
- 국제스왑파생상품협회(ISDA),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국제증권대차협회(ISLA), 선물산업협회(FIA)등의 한국자문변호사로서 자문 제공 및 의견서의 정기적 업데이트
- ISDA를 위하여 ISDA 한국형 담보제공계약서(Korean CSA, Korean Security Agreement)의 작성
- KOFIA를 위하여 장외파생상품 표준고객청산계약(client clearing agreement), 한글장외파생상품표준계약, 한국신용부도스왑 표준 거래확인서, 표준전담중개계약서 작성
- 한국신용부도스왑 지수, 파생결합증권 표준 사업설명서 작성 관련 KOFIA에 대한 자문 제공
- 장외파생상품 중앙청산 관련하여 한국거래소와 전국은행연합회에 대한 자문 제공
- 한국거래소의 ESMA 승인 및 CFTC 등록절차와 관련하여 외국은행그룹 및 한국거래소에 대한 자문 제공
- 소유권이전형 담보제도 도입을 위하여 한국예탁결제원 및 다수의 금융기관에 대한 자문 제공
- 파생상품, repo, securities lending 등에 이용되는 표준국제계약서에 관한 각종 customization 및 의견서 제공
증권 및 자본시장 거래
- 여러 기업공개 프로젝트 (국내 최초 해외 투자자 유치 기업공개 포함) 및 채무증서 역내 및 역외 발행 관련 다수의 발행기관 및 인수기관에 대한 자문 제공
- 최초 해외 자원 펀드 설립 관련 자문 제공 (한국 베트남 15-1 유전 펀드) 등 해외자원 펀드 설립 관련 자문 제공
- 국내 최초 탄소 펀드 설립 및 온실가스배출권 관련 자문 제공
- 금융거래지표 개혁관련 은행연합회와 KOFIA 자문
금융 규제
- 전자증권법 제정 관련 금융위원회 및 법무부 자문
- 금융법령 개정 및 정부 유권해석 취득 관련하여 다수의 국내외 금융기관에 대한 자문 제공
- 정기 및 특별 검사절차에서 다수의 국내 금융기관에 대한 자문 제공
- 다수의 외국금융기관 등을 상대로 역외금융거래에 관한 자문 제공
- DR제도 개선 및 전자증권 도입 등 주요 연구용역에 참여
- 신용평가기관 제도 개선 관련 금융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및 신용평가기관 자문
정보보호 및 전자금융
- 신용정보법,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관련 금융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
-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도입에 대비하여 외국 은행 그룹에 대한 자문 제공
- 정보보호, Big Data, 비식별화 등의 문제에 관하여 다수의 금융기관, 신용정보회사, 신용정보집중기관 등 자문
- 다수의 마이데이터 사업인가 자문
핀테크 및 가상자산
- 뮤직카우 및 에이판다 파트너스를 대리하여 금융혁신지원특별법상의 금융혁신기업지정 자문
기타
- 국내금융지주의 국내은행 인수 및 국내금융지주의 국내증권 인수 등 다수의 금융기관의 인수·합병 거래에서 매수인 또는 매도인의 대리인으로서 자문 제공
- 국내 주요 은행의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 관련하여 자문 제공
- 금융기관에 대한 검사 및 조사사건에서 국내외 금융기관 대리
학력
- 2003미국 Columbia University, School of Law (LL.M.)
- 1994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졸업
- 1990오산고등학교 졸업
자격
- 2006외국변호사, 미국 뉴욕주
- 1996변호사,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영어
외부 활동
- 데이터와 법 제2전정판 (공저, 박영사, 2024.1.)
- 마이데이터의 시대가 온다 (공저, 지식공감, 2022.3.)
- 데이터와 법 (공저, 박영사, 2021.7.)
- 금융데이터의 법적규제 및 금융데이터 관련 정보산업, BFL 제107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21.5.)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온라인 주석 개정판 (공저, Thompson Reuters LawnB, 2020.10.)
- 파생금융거래와 법 제2권 (공저, 소화출판사 2020)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주요 개정내용 소개, BFL 제102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20)
- 최근 20년간 금융시장인프라에 관한 제도 변화에 대한 소고, BFL 제101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20)
- 전자증권과 담보, BFL 제96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9.7.)
- 금융투자상품의 판매자료(광고지등)에 나타난 투자자를 오도하는 기재에 관한 불법행위 책임, 광고판례백선 (한국광고법학회, 2019.7.)
- Chambers Global Practice Guide – Structured Finance & Derivatives 2019: Korea chapter (Co-authored)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개인정보 (공저, 세창출판사, 2018.12.)
- Set-Off Law and Practice (공저, Oxford University Press, 2018.2.)
- TRS와 지급보증, 신용공여 및 보험규제의 접점, BFL 제83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7.5.)
- 국제증권거래와 관련한 자본시장법의 역외적용 - 외국투자매매업자 및 외국투자중개업자에 대한 진입규제문제를 중심으로, 국제거래법연구 제25집 제1호 (국제법학회, 2016.7.)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온라인 주석 (공저, Thompson Reuters LawnB, 2015.11.)
- 카드사 개인정보 대량유출 사태 이후의 제도적 변화 - 신용정보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BFL 제66호 (공저,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4.7.)
- 개인정보보호의 법과 정책 (공저, 박영사, 2014)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20조에 관한 실무상 문제점, 도산법연구 제4권 제2호 (공저, 사단법인 도산법연구회, 2014)
- 개정 자본시장법에 도입된 장외파생상품 청산제도 소개, BFL 제60호 (공저,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3.7.)
- 장외파생상품의 중앙청산에 있어서의 도산법 문제에 대한 고찰 - 청산회원의 도산을 중심으로, BFL 제53호 (공저,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12.5.)
- "To list or not to list?", Asian-Counsel, Vol. 8, Issue 8 (공저, Pacific Business Press, 2010)
- Asialaw September 2008 - Special Report: Guide to South Korea (공저, Enter the Hedge Funds, 2008)
- "Recent changes to the Korean IPO regulatory regime", Asian-Counsel, Vol. 6, Issue 4 (Pacific Business Press, 2008.5.)
- 현행 소비자금융관련 개인정보보호제도 고찰, BFL 제26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07.11.)
- Recent Developments in Derative Business Regulations (공저, Korea Review, 2007)
- 신용정보법상의 개인정보보호의 문제와 그 개선방향, 상사법연구 25권 2호 (상사법학회, 2006)
- 해외원주상장과 관련한 국내법상의 문제점, BFL 제14호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2005.11.)
-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현황과 문제점, 증권법 연구 제2권 제2호 (증권법학회, 2001)
수상 내역
- 2018대통령 표창 (금융혁신유공자)
- 1996사법연수원장상
외부 평가
- Asialaw Profiles Capital Markets 분야 "Leading Lawyer" 선정 (2018, 2020-2022)
- Who’s Who Legal Banking 분야 "Leading Lawyer" 선정 (2019-2022)
- Who’s Who Legal Capital Markets 분야 "Leading Lawyer" 선정 (2015-2022)
미디어센터
-
2025.03.21
-
2025.03.19
-
2025.03.14
-
2025.03.07
-
2025.03.03
-
2025.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