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들어가며

2023년에는 이슈에 따라 ESG 투자, ESG 경영이 일부 후퇴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였으나, ESG 규제 및 제도의 구체화에 따라 본질적인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2023년의 ESG 논의에 대해 회고하고, 2024년 전망을 통해 국내 기업이 2024년 ESG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II. 주요 글로벌 ESG 규제 동향

1. ESG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향후 전망
2. 해외發 지속가능성 공시제도의 본격화
3. 공급망 실사를 요구하는 다양한 법안과 무역의 연계
4. ESG 펀드 공시 및 그린워싱 규제

III. 2024년 주요 ESG 트렌드 전망

1. ESG 공시 관련 해외 규정의 준용 시 유의사항
2. 기후 및 인권 문제에 대한 투자자 중심의 engagement 지속
3. 자연자본 및 생물다양성 이슈의 부상
4. 인권 및 환경, 반부패 위험관리의 체계화와 공급망 확장
5. 기업지배구조 모니터링의 강화 

 

글로벌 ESG 규제가 확립되어 감에 따라 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의 위험이 곧 재무적 위험으로 직결된다는 점을 여러 기업을 통해 체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ESG 전망을 분석하고 적시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기업의 ESG 위험은 더 이상 ESG 부서만의 관리사항이 아니라, 다양한 부서의 협업과 경영진의 관심사항이 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글로벌 ESG 규제의 원년으로, ESG 관련 규제의 세부적 기술 논의가 마무리될 것이며 이에 따라 해외 대기업을 위주로 ESG 규제의 대응 동향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 가치사슬에서의 환경 및 인권은 전세계 경제의 기반이자 기업 경쟁력, 거래처 협상력의 중요 요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과 개선 필요성 역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바, 기업은 관련 규제와 가이드라인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저희 법무법인(유) 세종 ESG 센터는 다양한 부서가 맞닥뜨리는 ESG 관련 사항에 종합적으로 도움을 드리고 있으며, 기존의 ESG 경영 자문을 포함한 다양하고 새로운 자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희 뉴스레터와 관련한 문의사항 및 ESG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신 경우 관련 전문가의 연락처로 연락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