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김종현

김종현

변호사
개요

김종현 변호사는 현재 법무법인(유) 세종의 파트너 변호사로 주된 업무분야는 인사∙노무, 노동분쟁 등 HR 관련 법무입니다.

김종현 변호사는 입사 이래 법무법인(유) 세종의 노동팀의 설립멤버로 활약하며 인사∙노무 및 노동소송 등 HR관련 법무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쌓아 왔습니다. 임금, 근로시간, 근로자성, 불법파견, 해고 및 징계, 직장내 괴롭힘과 같은 HR 컴플라이언스 자문은 물론, 노동조합 대응 및 단체교섭 컨설팅 등 집단적 노동관계법 업무도 다양하게 수행하였으며, 수많은 노동관련 민∙형사 소송 및 노동위원회 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왔습니다. 김 변호사는 특히 고객이 처한 구체적인 상황에 부합하는 tailored solution을 제공한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에서 법학전문석사를 취득하였으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대학원에서 사회법(노동법) 박사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또한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hool of Law에서 석사 학위(LL.M)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New York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였습니다.

김 변호사는 인사노무 및 노동분쟁 분야에서 여러 법률 이슈들에 대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고, 다수의 학회 및 세미나에서 발표자 또는 토론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 변호사는 최근 Legal Times로부터 2021 Rising Star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경력
  • 2013-현재법무법인(유) 세종
  • 2013제2회 변호사시험 합격
주요 업무 실적
  • S사, E사 의류회사 판매점장, 검침원 등 독립사업자의 근로자성에 관한 소송
  • A사, S사, H사, K공사, 통상임금 및 성과상여금 관련 소송
  • S사 저성과자 관리제도(PIP) 관련 소송
  • H사, S사, D사, K사 외 다수의 부당노동행위 사건 대응
  • S 물류업체, B 제조업체, D 광산업체 등의 불법파견 소송
  • G사, M사 등 영업비밀 침해 및 경업금지 분쟁사건 대응
  • S대학, K대학, M대학, H대학 등 다수의 교원분쟁 사건 대응
  • L그룹, H그룹, S사 외 다수의 인력구조조정 컨설팅
  • S사, G사, K사 등 다수의 노조대응 및 단체교섭 컨설팅
  • A사, K사, M사, I사 등 직장 내 괴롭힘 등 사건 조사
  • K사, H사 등 임금피크제 관련 자문
  • S사, A사 등 영업비밀보호 및 직무발명제도 관련 자문
  • B사, K사, S사 등 외국계 회사 및 외국계 로펌 다수 급여체계 및 인사체계 개편 자문
  • 외국계 M사, I사, A사 등 인사평가제도 및 저성과자 관리제도 자문
  • J사, H사, A사, L사 등 다수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자문
  • B사, S사 등 ESG 자문 및 ESG 교육 수행
학력
  • 2018-2019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LL.M.)
  • 2014-현재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 2010-2013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석사)
  • 2002-2009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법학사)
  • 1999-2002안동고등학교
자격
  • 2022외국변호사, 미국 뉴욕주
  • 2013변호사, 대한민국
언어

영어, 일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외부 활동
  • Chambers In-Depth Overview – An Introduction to Employment 2024: South Korea
  • 경영성과급의 임금성 판단구조의 재정립에 관한 소고, 노동법포럼 제39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공저, 2023)
  • 해외입법례에 비추어 본 2022년판 노란봉투법, 노동법률 (2022. 12)
  • 경영성과급은 근로의 대가인가?, 노동법률 (2022. 9)
  • 단체협약의 해석 문제: 근로시간면제자의 처우에 관한 조항을 중심으로, 노동법률 (2022. 7)
  • 노동조합의 자주성과 설립 무효 : 대법원 2021. 2. 25. 선고 2017다51610 판결, 노동법포럼 33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21)
  • 기간제 근로계약의 해지에 관한 소고 – 근로자의 사직과 민법 제661조의 부득이한 사유를 중심으로, 노동법연구 50호,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공저, 2021)
  • 노동조합 관리ㆍ통제를 위한 입법적 규율의 변천 – 노동조합의 정치적 기능을 중심으로, 노동법포럼 24권,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018)
  • 금지청구권 허용을 위한 기준 : 대결 2010. 8. 25, 2008마1541, 법학평론 제2권 (공저, 2011)
외부 평가
  • 리걸타임즈 노동 분야 "라이징스타(Rising Star)" 선정 (2021), "리딩로이어(Leading Lawyer)" 선정 (2024)

구성원 검색

구성원 검색 서식
검색 조건